본문 바로가기


비철금속

금속 종류별 비중과 용융점, 특징

탄소강을 비롯해 회사업무에서 자주 언급되는 금속 소재들의 특징에 대해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그리고 업무에서 사용되지는 않지만 금과 은처럼 실생활에서 자주 접하는 귀금속까지 알아보려고 하는데요. 각각의 금속 비중과 용융점은 해당 금속의 대표적인 재질로 표기했습니다. 스테인리스 같은 경우만 하더라도 SUS304와 SUS316, SUS410 등 재질별로 비중이 다르며, 모든 재질을 다루기에는 양이 방대해지므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스테인리스 재질별 비중이 궁금하다면 아래 링크를 참고하세요!

 

#스테인리스 재질별 비중과 단중구하는 공식, SUS304 비중 외

 

스테인리스 재질별 비중과 단중구하는 공식, SUS304 비중 외

스테인리스 재질 관련 열한번째 포스팅입니다. 카테고리 다른 글에서 스테인리스 관련한 자료들을 확인할 수 있으니 꼭 읽어보시는 걸 추천합니다. 오늘은 스테인리스 재질의 단중을 계산하는

kpma.tistory.com

 

 


금속 종류별 비중과 특징

 

1. 탄소강 (Carbon steel)

비중: 7.85 / 용융점: 1535℃

 

 

 

탄소강은 가장 대표적인 금속입니다. 가공성이 우수하고 가격이 저렴하기때문에 자동차를 비롯해 각종 건축물 등 다양한 곳에 사용되고있어 주변에서 쉽게 접할 수 있습니다. 탄소 함유량에 따라 열처리에 의한 경화가 가능해 성분이나 필요한 강도에 따라 열처리를 하기도 합니다. 발청으로 인해 쉽게 부식되므로 도금이나 도장 등 표면 처리가 필요합니다.

 

 

2. 알루미늄 (Al)

비중: 2.72 / 용융점: 657℃

 

 

알루미늄은 매우 가벼운 경량금속입니다. 전기나 열의 전도율은 구리 다음으로 크고, 가공도 쉬운편입니다. 알루미늄은 산성이나 알칼리성 환경에서 쉽게 부식되지만, 최근에는 수소 생산의 촉매제로도 가능하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되기도 했습니다.

 

관련 논문: 알루미늄 도핑을 통한 촉매의 전자 구조 변화 메커니즘 및 실험을 통한 고활성 고내구성 확인

논문저자: POSTECH 신소재공학과·친환경소재대학원 김용태 교수 외 다수

위 논문은 미국화학회 발간 학술지 ‘ACS Catalysis’ 표지논문으로 소개되기도 했습니다.

 

 

3. 구리 (Cu)

비중: 8.89 / 용융점: 1083℃

 

 

 

 

구리는 전기와 열 전도율이 높아 전선에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연신율이 높아 늘어나기 쉽고 가공성도 우수한 편입니다. 철은 부식되면서 붉은색의 녹이 발생되는데, 구리는 푸른빛이 도는 녹이 발생됩니다. 산성과 알칼리성 환경에서 쉽게 발청됩니다.

 

 

4. 황동 (Brass)

비중: 8.43 / 용융점: 900℃

 

 

황동은 구리(Cu)에 아연(Zn)을 첨가하여 만든 황금빛을 띠는 구리합금입니다. 구리와 마찬가지로 연신율이 뛰어나 잘 늘어나며, 절삭성이 좋아 선반이나 밀링가공에 많이 사용됩니다.

 

 

5. 납 (Pb)

비중: 11.3 / 용융점: 327℃

 

 

 

납은 알루미늄과 반대로 무거운 금속 중 하나입니다. 부드럽고 늘어나기 쉬워서 가공하기 쉬우며, 융점이 낮아 주조 성형이 많이 이루어집니다. 방사선 흡수량도 금속중에서 가장 큽니다.

 

 

6. 티타늄 (Ti)

비중: 4.5 / 용융점: 1725℃

 

 

 

티타늄은 알루미늄 다음으로 가벼운 금속입니다. 늘어나기는 쉽지만 강도가 매우 뛰어납니다. 티타늄은 부식이 잘 안되는 금속 중 하나로 스테인리스보다도 뛰어납니다. 따라서 바닷가와 같이 스테인리스가 쉽게 녹스는 환경에서도 많이 사용됩니다.

 

 

7. 금 (Au)

비중: 19.3 / 용융점: 1063℃

 

 

금속 중에서 무거운 편으로 비중이 무려 19.3이나 됩니다. 철이나 납보다도 무겁습니다. 산화가 잘 되지 않는다는 특징이 있으며, 금박을 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듯이 잘 늘어나는 편입니다. 단자등의 접점에 도금으로 사용되지만 전기나 열의 전도율은 은이나 구리에 비해 뒤떨어집니다.

 

 

8. 은 (Ag)

비중: 10.5 /용융점: 961℃

 

 

전기와 열의 전도율이 금속 중 가장 높습니다. 귀금속 중 반응성이 높은 편이라 광택을 잃기 쉽다. 세세한 성형이 용이해 반지와 같은 귀금속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이상으로 금속 종류별 비중 및 용융점과 각각의 특징에 대해 소개해드렸습니다. 아래 관련 추천글도 확인해보세요.

 

[관련 추천글]

 

#티타늄이란? 티타늄 금속의 종류와 사용처, 티타늄 합금

 

티타늄이란? 티타늄 금속의 종류와 사용처, 티타늄 합금

티타늄은 항공기와 인공위성 등에 주로 활용되기 때문에 비싸고, 튼튼한 금속이라는 인식이 많죠? 반은 맞고 반은 틀렸습니다. 오늘은 티타늄 금속에 대해 소개해드리고, 어떤 종류가 있는지도

kpma.tistory.com

 

#신동, 신주, 황동, 구리(Cu)의 종류별 성분 및 특징, 용도

 

신동, 신주, 황동, 구리(Cu)의 종류별 성분 및 특징, 용도

모든 금속 중에서 전기 전도성이 가장 높은 금속은 은(Ag)입니다. 하지만 은(Ag)은 가격이 비싸기 때문에 전선으로 활용하기가 쉽지 않죠. 따라서 전기 전도성이 두 번째로 높은 금속인 구리(Cu)를

kpma.tistory.com

 

#알루미늄, 철, 스테인리스, 구리의 차이점 및 재질특성 비교

 

알루미늄, 철, 스테인리스, 구리의 차이점 및 재질특성 비교

알루미늄 재질관련 네번째 포스팅입니다. 알루미늄은 다른 금속 대비 비중이 작고 내식성 및 가공성이 뛰어나다고 알려져있는데요. 철과 스테인리스, 구리와 비교했을때 어느정도인지 그 차이

kpma.tistory.com

 

반응형